Bits, Bytes, and Integers의 표현

Update:     Updated:

Category:

Tags:



Representing information as bits


Everything is bits

bit = 0 or 1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비트(bit) 단위로 표현하고 처리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십진수(decimal )를 다루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이진 형태로 표현되어 왔다고 한다.


Encoding Byte Values

byte = 8bits

컴퓨터는 각각의 비트에 하나씩 접근하지 않고, 8개씩 블럭 단위로 정보를 불러온다. 이것을 바이트라고 하며, 참조할 수 있는(addressable) 가장 작은 메모리 단위라고도 한다.

  • 2진법 (Binary) : $00000000_2$ 부터 $11111111_2$
  • 10진법 (Decimal) : $ 0_{10} $ 부터 $ 255_{10} $

하지만 이진법으로 표현하면 값이 너무 방대하고, 십진법은 변환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두 가지 방법 모두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있어 비효율적이다.

image

  • 16진법 (Hexadecimal)
    • 0x, 0X으로 시작하는 숫자들은 16진법으로 해석
    • 이진법과 4자리씩 mapping 되기 때문에 변환 과정이 간편하다

    image


Data Size( = Word Size)

모든 컴퓨터는 word size가 존재한다. 여기서 워드 크기는 :

  • 컴퓨터 CPU가 하나의 명령당 처리할 수 있는 비트의 크기
  • 컴퓨터 메모리 주소 하나를 나타내는 비트의 크기

컴퓨터의 종류에는 32bit와 64bit 짜리가 있는데, 이 숫자는 word size를 의미한다. 32bit 컴퓨터의 경우, 32bit 만큼의 크기인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으며, 총 $2^{32}$byte(= $4$GB)만큼의 메모리 크기를 가질 수 있다.


Data Representations

컴퓨터는 각기 다른 방식과 길이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저장한다.

image

-> long과 pointer 변수의 경우, 32bit와 64bit에서 각각 4, 8 바이트씩 다르게 할당된다.



Byte Ordering

메모리에 데이터를 어디부터 먼저 저장할 것인지, 저장하는 순서에 따라 구분된다.

  • Big Endian : 첫번째 주소에 가장 큰 값(상위 바이트)을 먼저 저장하는 방식

    -> Sun, PPC Mac, Internet에 사용

  • Little Endian : 첫번째 주소에 가장 작은 값(하위 바이트)을 먼저 저장하는 방식

    -> x86, ARM processor(주로 스마트폰, 테블릿에 쓰이는 모바일 프로세서)에 사용

만약, 0x100이라는 메모리 주소에 0x01234567이라는 정수를 저장한다고 하면,

image

다음과 같이 메모리 주소 하나당 1byte가 할당되기 때문에 2개씩 묶어서 저장한다.

byte representation - 확인해볼 수 있는 코드

  • integer, float : 기기에 따라 특정 순서(big, little endian)로 저장
  • pointers : 기기에 따라 혹은 실행할 때마다 각기 다른 메모리 주소에 저장
  • strings :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순서로 저장
    • 마지막에 문자열의 종료를 의미하는 00를 붙여서 저장한다.

    ex. “12345” -> 31 32 33 34 35 00

/* show-bytes - prints byte representation of data */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typedef unsigned char* byte_pointer;

void show_bytes(byte_pointer start, size_t len) {
    size_t i;
    for (i = 0; i < len; i++)
        printf("%p\t0x%.2x\n", &start[i], start[i]);
    printf("\n");
}

int main(int argc, char* argv[])
{
    //int a = 0x12345678;
    int a = 2607352;
    printf("hexadecimal value : %.2x\n", a);
    printf("integer value : %d\n", a);

    show_bytes((byte_pointer)&a, sizeof(a));

    float f = (float)a;  // integer -> float 변환
    printf("floating point value: %f\n", f);

    show_bytes((byte_pointer)&f, sizeof(f));

    const char* m = "abcz";
    printf("character arra : %s\n", m);
    show_bytes((byte_pointer)m, strlen(m));

    return 0;
}


image

위에 출력된 결과를 보면 integer -> float 타입으로 변환을 하면 숫자와 ordering 방식은 유지가 되어도, 16진수 표기가 완전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integer를 표현하는 방식과 floating point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데

image

챗 GPT에게 확인 받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

  • integer : 2’s complement 방식을 사용해서 표현
  • float : IEEE 754 standard 방식을 사용해서 표현

따라서 같은 숫자더라도 완전히 다른 bit pattern과 hexadecimal notation을 갖게 되는 것!



Bit-level manipulations


과거의 개발자는 직접 비트 단위 연산을 사용해서 복잡한 연산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해야 했다. 하지만 현재는 하드웨어의 발달로, 비트 단위 연산 없이도 빠른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비트 단위 연산의 필요성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하지만 시스템 하드웨어 프로그래밍의 경우, 메모리 공간 축소와 성능 향상을 위해 아직까지 사용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Bit operations

& (AND)   (OR) ^ (XOR) ~ (NOT)
Intersection Union Symmetric Difference Complement  
두 개 모두 참일 때만 참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OR 연산에서 둘 다 참인 경우 제외 참이면 거짓, 거짓이면 참  

-> 논리 연산자( $ \&\&, ||, ! $ ) 와의 구분 필요

논리 연산자는 0x00(False) 혹은 0x01(True)의 값으로만 반환한다



Shift operations

  • Left Shift ($x « y$) :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

    가장 왼쪽 비트가 이동 갯수만큼 지워지고, 비워진 뒷부분이 0으로 채워진다.

  • Right Shift ($x » y$) :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

    가장 오른쪽 비트가 이동 갯수만큼 지워지고, 비워진 앞부분이 다음 두 가지 매커니즘으로 나뉘어 채워진다.

    • Logical Shift : 부호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며, 0으로 채운다.
    • Arithmetic Shift : 부호를 고려해야 하는 경에 사용하며, 부호 비트(most significant bit)의 숫자로 채운다.
    • Undefined Behavior : shift 사이즈가 0보다 작거나 word 사이즈보다 큰 경우

    image



Integers


Representation : unsigned vs. signed

정수는 다음과 같이 부호를 포함하는 수와 포함하지 않는 수로 나눌 수 있다.

unsigned : non-negative, 0과 양의 정수만 포함

signed : positive, zero, negative,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정수


여기서 signed 정수를 이진법으로 표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 1’s complement (1의 보수) : 더해서 1이 되는 수로, 0을 1로, 1을 0으로 바꿔서 구할 수 있다

  • 2’s complement (2의 보수) : 더해서 2가 되는 수로, 1의 보수에 1을 더해서 구할 수 있다

    image

하지만 위와 같이 1의 보수에서는 0이 두 개 존재하는 반면, 2의 보수는 하나로 통일되게 표현된다. 또한 연산 과정이 2의 보수가 훨씬 직관적이고 간편하기 때문에 실제로 2’s complement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



Encoding Integers

정수를 인코딩, 즉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방법에는 :

  • Binary to Unsigned (B2U)

    부호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각 자리 수에 맞게 $2^{i}$를 곱해서 더하면 된다.

    \[B2U(X) = $\sum^{w-1}_{i=0}x_i*2^{i}$\]

    위의 공식을 적용했을 때, unsigned가 가질 수 있는 최솟값과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 $UMin = 0 (000..0)$
    • $UMax =2^{w}-1 (111…1)$

  • Binary to Two’s Complement (B2T)

    부호를 고려하는 경우, 맨 앞자리 수는 부호 비트(Most Significant Bit)가 된다. 따라서 맨 앞자리 숫자는 부호에 맞게 계산을 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 $2^{i}$를 곱해서 전부 더해주면 된다.

    \[B2T(X) = -x_{w-1}*2^{w-1} + \sum_{i=0}^{w-2}x_i*2^{i}\]

    위의 공식을 적용했을 때, signed가 가질 수 있는 최솟값과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 $TMin = -2^{w-1}(100..0)$
    • $TMax = 2^{w-1}-1 (011..1)$


두 가지 공식을 통해 추가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것은 :

  1. signed와 unsigned로 표현할 수 있는 전체 수의 범위는 같다.

    $2*TMax + 1= UMax$

  2. signed에서 양수와 음수의 범위가 비대칭적(asymmetric)이다.

    $|TMin| = |TMax|+1$

    -> 양의 범위에 0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음수에 비해 한 개가 부족하다.

  3. $-1$은 $UMax$와 같은 표현이 되고, $0$은 두 가지 표현에서 모두 동일하다.

위의 함수를 역으로 계산하는 것을 $U2B(X)$, $T2B(X)$ 로 나타낼 수 있다. 정확히는 이진수로 바꾸는 이 과정이 인코딩에 해당된다!



Conversion and Casting

정수를 선언했을 때, 상황에 따라 unsigned와 signed로 형변환을 시켜주는 경우가 생긴다.

정수의 타입을 casting하는 과정을 수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image

먼저 binary 형태로 정수를 바꾼 후, 원하는 타입에 맞게 캐스팅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unsigned <-> signed(2’s complement) 변환 관계

양의 범위에서는 동일하게 변환되지만, 음의 범위의 경우 큰 양수로 변환된다.

image

( small tip : $2^w$를 더하거나 빼면 빠르게 음수를 변환할 수 있다. )

  • Constant : 보통 signed로 선언되며, 뒤에 U를 붙이면 unsigned로 선언할 수 있다.

    ex. $0U$, $4279979U$ -> unsigned !

  • Casting :
    • Explicit Casting : (int) ux , (unsigned) tx
    • Implicit Casting : tx = ux, uy = ty

    -> 기본적으로 unsigned가 우선순위를 가져가기 때문에 둘을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는 내부적으로 전부 unsigned로 변환해서 처리한다.

  • unsigned int를 굳이 사용해야 하는 이유

image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unsigned 변환을 잘 지원해주는 C를 로우레벨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하고, 보통의 프로그래밍에서는 그냥 signed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이썬을 주로 쓰는 것 같다. (파이썬에서도 numpy 라이브러리에서 unsigned 변환을 지원하기는 한다. )



Expanding and Truncating

word size가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비트가 어떻게 확장되고 축소되는지

  • Bits Expanding

    늘어난 bit를 모두 0 또는 1인 sign 비트로 채워서 확장시킨다. 비트 수를 늘려도 계산하면 같은 숫자 결과 값이 도출된다.

    image

    예를 들어 $15213$을 short int에서 int로 바꾼다고 하면, 늘어난 비트를 모두 $0$으로 채우고, $-15213$의 경우 모두 $1$로 채운다.

    image

  • Bits Truncating

    비트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 부호 비트가 사라지기 때문에 값이 완전히 바뀔 수 있다. 음수에서 양수로 바뀌기도 하고 양수에서 음수로 바뀌기도 한다.

    따라서 바뀌는 수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연산 과정이 필요하다.

    • unsigned : (해당 수) mod $2^{w-1}$ 를 계산
    • signed : mod와 비슷한 연산

    -> 작은 수의 경우에는 값이 그대로 유지된다.



Addition, Negation, Multiplication, Shifting

  • Addition : binary 형태로 표현한 후 덧셈 (carrying bit, MSB 무시)
    • Unsigned Addition (UAdd)

      image

      만약 true sum >= $2^w$인 경우, overflow 발생

      (overflow) : $UAdd_w(u, v) = u + v$ mod $2^w$


    • Signed Addition (TAdd)

      image

      만약 true sum >= $2^{w-1}$인 경우 overflow, true sum <= $-2^{w-1}$은 underflow

      (overflow) : $TAdd_w(u, v) =$ $- (u + v$ mod $2^w)$
      (underflow) : $TAdd_w(u, v) =$ $- (u + v)$ mod $2^w$

      signed의 경우, 오버 플로우와 언더 플로우 덧셈을 계산하는 예시 :

      image

    • Signed와 Unsigned의 변환

      unsigned와 signed 변수를 conversion을 해도 결과는 같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t s, t, u, v;  // all signed value
        bool is_true;
              
        s = (int)((unsigned)u + (unsigned)v); // -> unsigned -> signed
        t = u + v;  // signed
        is_true = (t == s)  // true
      


  • Multiplication : binary 형태로 표현한 후 곱셈 (w bits 무시)
    • Unsigned Multiplication (UMult)

      곱셈 연산을 하면 결과는 기존의 비트의 두 배인 $2*w$ bits를 차지하게 된다.
      (overflow) : $UMult_w(u, v) = u * v$ mod $2^{w}$

      image

    • Signed Multiplication (TMult)

      (overflow) : $UMult_w(u, v) = u * v$ mod $2^w$ 한 것을 signed 값으로 변환 image

    • Multiplication (Power-of-2, Left Shift)

      unsignedsigned 모두 $u * 2^k$ == $u « k$ 같은 결과 !

      image

      $2^k$가 아닌 경우 shift 연산 합성 : $(u « 5) - (u « 3) == u * 24$

  • Division (Power-of-2, Right Shift)

    shift 연산을 하면 더 적은 cpu cycle을 가지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다.

    • Unsigned Division : $u / 2^k == u » k$ (logical shift)

    • Signed Division : $u / 2^k == u » k$ (arithmetic shift) 이 원래 성립해야 하지만,

      image

      일부 케이스에서는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cpu는 미리 $+1$을 한 후, arithmetic shift를 수행해서 결과 값을 도출한다!

      image





@Computer Systems a programmer’s perspective third edition 내용을 참고함



맨 위로 이동하기